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해양공학과에서는 무엇을 배울까? 졸업생의 해양환경기사 취득방법과 응시자격, 연봉, 취업처

(바다와 땅) 해양과 측량

by 네소링 2025. 1. 7. 21:06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해양공학과에서는 무엇을 배울까?
졸업생인 제가 해양공학에 대한 이모저모를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려 합니다.
 

해양환경기사란?

해양환경기사는 해양개발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진 인력을 뽑는 자격증이에요.
특히, 해양환경기사라는 이름에 걸맞게 인류의 식량 및 자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양개발의 전문적인 지식과 실무기술을 겸비한인력이라는 것이죠!
해양환경기사는 해양환경에 대한 지식은 물론, 설계, 시공, 조사, 분석 등 다양한 기술업무를 수행한답니다.
 

해양환경기사의 취득방법 및 응시자격

해양환경기사의 취득방법과 응시자격은 다음과 같아요!
  1. 3년제 전문대학 졸업자 + 실무경력 1년
  2. 2년제 전문대학 졸업자 + 실무경력 2년
  3. 산업기사 수준의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 실무경력 2년
특별히 요구되는 학력의 조건은 없지만 해양 관련 학과를 나오는 것이 유리하겠죠?
저 또한 4년제 해양관련 학과를 졸업해 해양환경기사를 취득했습니다 !!!
 
해양환경기사의 시험은 정기기사 2회에 실시됐지만 2025년부터는 2회, 3회 
두 차례에 걸쳐서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다음 포스팅 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험 일정 및 수수료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요~
 

연봉과 취업처

해양환경기사는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취직이 가능한데요~
해양 관련 회사인 해양환경공단 등 정부기관에도 취직할 수 있으며 지방정부, 연구기관, 정부투자기관, 교육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을 할 수 있어요!
 
2016년부터 2026년까지 중장기 인력 수급 전망에 따르면
해양환경기사를 포함한 종사자 수는 약 4만명에 이르러요. 저도 이 4만명 안에 포함되겠죠?ㅎㅎ
 
예를들면,
  1. 교육기관: 교수, 지구과학 등 교사
  2. 중앙 및 지방정부: 수산직 공무원 및 공공기관 재직
  3. 연구기관: 국립해양조사원, 국립수산과학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
  4. 정부투자기관: 해양환경공단, 수산자원관리공단, 한국농어촌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국토정보공사, 국립공원관리공단
 
해양환경기사는 해양환경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은 물론 
해양개발에 필요한 조사 및 분석, 오염방지 및 자원개발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응시자격을 갖추고 필기와 실기 시험을 통과해야 합니다.
(실기 시험이 무척 어렵다는 사실! 저는 한번에 붙었습니다 얏호!)
 
해양환경기사는 다양한 취업분야와 높은 전망을 가지고 있으며
인류의 식량 및 자원 문제 해결, 그리고 환경오염, 해양 환경에 대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직무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은 도전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