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해양 관련 학과 졸업자
그리고 해양환경기사 취득자 입니다.
해양환경기사 취득자인 제가 작업형 실험 및 계산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해양환경기사의 검량선식을 구하기는 조금 까다롭습니다.
하지만 차근차근 따라하시면 합격까지 한발짝 가까워집니다.
한가지 유의하셔야 될 점이 있는데 제가 알려드리는 방법은 수 많은 풀이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제 방법이 100% 정답은 아니지만 본인께 맞는 방법으로 하시면 됩니다.
모두들 해양환경기사 해양인이 되기 위해 화이팅!
검량선식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리겠습니다. 흡광도 측정기를 이용해서 흡광도를 측정합니다.
그 후에 시험지에 흡광도를 적게 되잖아요?
그러면 검량선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농도를 적는 것이 이 시험의 문제 목적 중 하나입니다.
※ 농도를 x, 흡광도를 y라고 할 때 검량선식(회귀직선식)은 y = ax+b 이며,
x, y에 표준용액의 농도(x)와 흡광도(y) 값을 대입하여 a와 b를 구합니다.
따라서 농도를 잘 구하셔야 되겠죠?
실험을 위해 받은 미지시료에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검량선식을 이용하여
미지시료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이 실험의 최종적인 목적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첫 번째 관문, 검량선식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출한계와 정밀도는 정말 다행이게도 시험지에 식이 적혀있습니다. 정말 다행이죠? 외우지않아도 됩니다.
검출한계는 증류수 7개를 이용하여 평균농도 + 3.143 * 표준편차의 값을 구하면 됩니다.
정밀도는 마이크로몰 값 7개를 사용하여 표준편차/평균*100의 값을 구하면 됩니다.
여기서 잠깐! 검출한계와 정밀도는 각각 다른 표준편차를 사용해야 하는데요!
이것도 시험지에 친절하게 기재되어 있으니 걱정마세요^_^
흡광도는 평균값이라고 생각한 후 계산하시면 쉬우신데요~
표준농도용액의 0은 계산하지마시고 1부터 계산하시면 쉽습니다. 왜냐면 0은 무엇을 곱해도 0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농도2에 대한 값의 평균을 구한 값을 더해주시면 됩니다.
표를 잘 그려놓으시면 계산하기 더 쉽다는 사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실제 시험장에서는 소숫점 4자리까지 밖에 적지 못하지만 계산 하실 때는 소수점을 최대한 길게 구하셔야됩니다.
왜냐면 소수점 끝자리가 미미하게 답에 영향을 줘서 결과론적인 최종 답이 달라질 수 있거든요 ~!
k값을 무시한 후 계산된 농도를 구해야되는데요! 이 부분은 정말 간단합니다.
기재된 식에 흡광도를 넣기만 하면 계산된 농도가 기재되게 됩니다.
실험이 잘 됐을 경우, 흡광도를 측정하면 흡광도 값이 비슷하게 나올 것입니다.
저 또한 4개 정도가 다 같은 값이었다는 사실!
값이 똑같다면 농도를 똑같이 적으면 되겠죠? (간단합니다.)
흡광도 값이 같게 나오면 계산하기 간편하고 시간이 정말 절약됩니다... 꼭 실험을 신중하고 천천히 하셔야됩니다.
작업형 시간이 4시간이나 되니 천천히 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한여름에 시험을 봐서 실험실이 정말 더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실험 4시간의 시험이 결코 쉬운 것은 아닙니다.
저도 작업형 시험 전에 실험실이 한정적이라서 최대한 연습해 본 횟수가 4번 정도였습니다.
해양 관련 시험은 장소나 실험 재료때문에 연습하는 것도 정말 어렵습니다.
마지막으로 필수로 강조 드리는 점은, 답안지를 적으실 때 꼭 소숫점 4자리로 적으셔야 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지출용 답안지에는 계산 했을 때의 어떠한 숫자도 적혀있으면 안됩니다.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고 하시더라구요..
저 또한 교수님께서 꿀팁이라며 알려주셨습니다.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필기 합격하신 후 실기(작업형)을 준비하시는 모든 해양인들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2. 강우강도를 고려한 비탈면 안정성 해석 (0) | 2025.01.08 |
---|---|
1. 강우강도를 고려한 비탈면 안정성 해석 (0) | 2025.01.08 |
입시생 필독! 해양공학과 정말 가도 될까요? (해양공학과 전망) (0) | 2025.01.08 |
2025년 국가기술자격 시험 일정 나왔습니다! 해양환경기사 회차 증가 소식까지! (0) | 2025.01.07 |
해양공학과에서는 무엇을 배울까? 졸업생의 해양환경기사 취득방법과 응시자격, 연봉, 취업처 (0)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