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산학개론) 어장의 모든 것 ! (어장의 의미, 환경요인, 형성요인)

(바다와 땅) 해양과 측량

by 네소링 2025. 2. 1. 10:09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장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어장의 의미

 

어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정한 장소에 어선이 접근하여 어획할 수 있는 도구를 가지고 잡을 수 있는 고기가 많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유용한 수산동식물이 많이 분포하고 쉽게 잡을 수 있는 조건을 갖추어 포획 또는 채취가 이루어지는 장소를 어장이라고 하죠!

어장은 수역 구분에 따라 내수면 어장, 조간대어장, 연안어장, 근해어장, 원양어장 등이라 부를 때도 있고 천해어장, 심해어장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대상어종의 이름을 붙여서 부르는 방법도 있고 지명을 붙일 때도 있습니다.

최대의 생물 환경으로 생산에 이용되는 해양 공간은 육상의 약 300배이며, 표층으로부터 수심 20m~100m 정도가 태양광선으로 광합성을 작용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번식합니다. 어족은 수심 200m이내의 대륙붕 수역에 특히 많고 바다의 비옥도는 풍부한 영양염이 표층에 공급되는 수역이 높아요. 바람에 의한 용승이나 겨울철의 냉기에 의한 대류 순환 및 해류간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혼합 등이 심층수를 밝은 태양빛이 비치는 상층으로 운반함으로써 바다는 풍부한 어장이 됩니다.

 

어장의 환경요인

어장에서 효과적인 어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바다의 서식하고 있는 생물의 분포 범위를 제한하는 여러 환경 요인을 알아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바다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의 분포를 제한하는 요인으로는 크게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요인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1) 물리적 요인

  - 물리적 요인으로는 수온, 광선, 투명도와 수색, 해수의 유동, 지형 등을 들 수 있어요.

2) 화학적 요인

  - 화학적 요인으로는 어장 환경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염분, 용존산소 및 영양염류 등이 있습니다. 양식의 경우 용존산소를 고려할 수 밖에 없습니다.

3) 생물학적 요인

  - 생물학적 요인으로는 먹이 생물, 경쟁 생물, 해적생물과의 관계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어장의 형성 요인

어장은 그 형성 요인에 따라 조경 어장, 용승 어장, 와류 어장, 대륙붕 어장 등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1) 조경 어장

  - 해수의 특성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수괴가 접하고 있는 경계를 조경 또는 해양전선이라 합니다. 세계의 주요 어장들은 이와 같은 조경 해역에 분포하고 있는데 특히 쿠로시오와 오야시오, 멕시코만류와 라브라도해류 등과 같은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곳을 모두 조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용승 어장

  - 해양의 하층에서 질산염, 인산염, 규산염과 같은 풍부한 영양염류가 용승에 의하여 표면 부근의 태양 광선이 도달하는 유광층까지 올라오게 됩니다. 영양염류는 식물 플랑크톤의 광합성을 촉진시켜 먹이 생물을 많이 생산하게 되므로, 좋은 어장을 형성할 수 있게 되죠. 용승역은 세계 전 대양 표면적의 0.5%에 불과하지만 세계 전체 어류 생산의 약 50%가 생산되는 좋은 어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3) 와류 어장

  - 와류도 어군의 분포, 이동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와류는 조경역에서 흐름의 와류로 인한 속도차, 또는 해저나 해안의 지형 등에 의한 해저마찰로 인한 저층 유속의 감소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자를 역학적 와류, 후자를 지형성 와류라고 합니다.

4) 대류북 어장

  - 대륙붕의 면적은 전 해양 표면적의 약 7.2%에 불과합니다. 상대적으로 얕은 바다로 수심이 200m이내죠.

이 곳에서는 하천수의 유입으로부터 영양염류가 풍부하게 운반됩니다. 그리고 파랑, 조석, 대류 등에 의하여 상하층수의 혼합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되므로, 표층에서부터 하층까지 영양염류가 매우 풍부하게 되어 유광층 내의 기초 생산력이 높아져 좋은 어장을 형성하게 됩니다. 또한 대륙붕역은 각종 어업 생물의 산란장, 성육장으로 알맞은 곳이 많으며 해저에서는 저서 생물이 서식하기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물의 분포 밀도가 비교적 높습니다. 해양에서는 생산되는 자원 생물의 약 절반은 대륙붕 내에 분포하며, 어종도 다양하고 규모도 큰 어장이 많습니다. 우리나라 근해의 대표적인 대륙붕 어장의 황해, 동중국해이고 세계적인 어장으로는 배링해 및 오호츠크해, 북해, 바렌츠해, 남아메리카 동안 근해, 아프리카 서안, 북아메리카 뉴펄들랜드 근해 등이 유명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