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해양의 오염 현상(갯녹음, 부영양화, 적조, 빈산소 수괴)

(바다와 땅) 해양과 측량

by 네소링 2025. 2. 16. 08:08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 알려드릴 정보는 해양의 다양한 오염 현상인데요~

갯녹음, 부영양화, 적조, 빈산소 수괴 등 알려드리겠습니다. 

 

갯녹음(백화현상)

 

갯녹음이란 조간대의 해조류가 녹아 유실되는 현상을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이러한 제현상을 의미하는 국제적인 어휘로서 통용된고 있는 'whitening'  또는 'whiting event'를 직역하여, 백화현상이란 어휘로 통일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백화는 해조류가 번성하고 있는 암초지대에서 어떤 원인으로 해조류가 고사, 소멸하고 그 공간을 석회조류로 불리는 여러 종류의 산호말(홍조류)이 점유하여 암반이 백색 또는 황색, 분홍색을 나타내는 현상을 말합니다. 

최근 국내에 파급되고 있는 현상은 조하대 수심 20m까지 이르는 해저에서 일반 해조류가 유실되는 것은 물론 석회조류가 급증하고, 때로 이들마저도 죽어 가는 경향을 띠고 있습니다.

 

부영양화

 

부영양화란 영양물질 즉, 질소와 인이 과잉으로 존재하는 현상으로 인구 증가, 산업 및 농업과 같은 인위적 요인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과잉으로 유입된 영양염류가 폐쇄된 수역 내에서 과도한 생산력을 유발시켜, 그 수역에서의 다른 이용 가치와 조화를 이루지 못할 정도로 증가하여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키는 현상입니다. 부영양화 정도가 심한 수역에서는 산소 농도의 변동 범위를 크게 하여 산소 농도 감소 시 주변 동식물의 떼죽음을 가져오곤 합니다.

부영양화가 해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연안 해역의 부영양화로 식물성 플랑크톤이 대량 번식할 경우 수산용수로서의 가치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생산되는 어종 또한 저급 어종이 주류를 이루게 됩니다. 부영양화된 해역에서는 적조 발생이 잘 일어나며, 빈산소 수괴의 형성 또한 현저하다. 부영양화 방지를 위해서는 생활 하, 폐수의 고도 처리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적조

 

적조란 해양에 서식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이나 그 외 박테리아나 미생물이 번식에 알맞은 환경조건이 될 때, 일시에 많은 양이 번식되거나 또는 생물 물리적 현상으로 집적되어 바닷물의 색깔을 변색시키는 현상입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적조현상은 거의 남해안의 폐쇄성 내역인 진해만과 마산만, 당동만, 원문만에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동해와 서해에서도 코클로디니움 등에 의한 적조가 반발하고 있습니다. 적조의 원인 물질은 육지에서 유래되어 해양으로 유입되는 영양염류와 가두리 양식장 등에서 유래된 영양염류 등이다. 육지에서의 오염원으로는 적절하게 처리되지 못한 상태로 해양에 유입되는 산업 폐수, 가정 하수, 축산 폐수 등입니다. 적조 발생 조건으로 1) 지형적으로 내만성이고, 외양과의 해수 교환이 적은 폐쇄성 해역이어야 합니다. 2) 물리적 측면에서 볼 때, 적조 생물의 생활 수온인 15~20도가 유지될 수 있는 여름철 이어야 합니다. 3) 육지로부터 강우 등에 의하여 적조 생물의 성장과 번식에 필요한 비료 성분인 영양염류가 유입되어 바닷물 속에 풍부하게 녹아 있어야 합니다. 

 

빈산소 수괴

빈산소 수괴란 저층의 용존산소가 낮아지는 현상입니다. 보통 수중의 용존산소는 농도가 2.5 이하를 빈산소 수괴라고 합니다. 통상 남해안의 리아스식 해안이나 해수 유동이 느리고, 오염물질이 축적되기 쉬운 반폐쇄성 지형, 지세를 가진 여수 가막만이나 경남 진동만, 통영시 북만 등에서 발생빈도가 높습니다.

빈산소 수괴의 발생 원인은 첫째, 조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해역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연안에서의 용존산소 공급은 대기 혹은 외해수와의 해수 교환에 의해서 주로 이루어지거나 조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폐쇄적인 만의 경우 저산소화 되기 쉬워요. 

둘째, 수온 또는 밀도 성층이 강하게 형성되는 해역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여름철 일사량의 증가에 의해 수온약층이 약하게 형성되거나, 대량 강우의 경우 표층에서 저층으로 산소 공급이 극히 제한되어 저층의 용존산소는 부족하게 되기 쉽습니다.

셋째, 부영양화된 해역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육상으로부터 생활 하수 및 산업폐수의 유입이 많은 해역은 영양염이 풍부하기 때문에, 빈번한 적조의 발생 등으로 인하여 수중 또는 퇴적물 내에 유기물이 다량 축적되어 고수온기에 미생물의 분해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 저층에서 일시에 다량의 용존산소를 소비하게 되어 저산소화 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