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산학개론) 양식 방법과 시설(양식의 분류, 양식장 적지 선정 등)

(바다와 땅) 해양과 측량

by 네소링 2025. 2. 4. 07:10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 알려드릴 정보는 수산학개론의 기본, 양식 방법과 시설, 양식의 분류, 양식장 적지 선정 등에

대하여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양식의 분류

1) 기술 단계에 의한 분류

  - 기술적으로 보면, 양식을 크게 완전 양식과 불완전 양식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가장 완성된 양식 기술의 형태는 인위적으로 양성한 어미로부터 인공 종묘를 생산하며 그 생물에 사료를 주고 적합한 상태로 환경을 관리하면서 고밀도로 성장시켜 단기간에 판매하고 또 양성한 생물의 일부는 다시 천어로 키워 관리하는 것입니다. 완전 양식은 이와 같이 양식 대상생물의 생활사 전체를 인위적으로 관리하는 형태를 말하고, 그렇지 못한 것을 불완전 양식이라고 합니다.

 

2) 수역의 종류의 의한 분류

  - 양식 장소가 내수면이면 담수양식 또는 내수면양식으로 해면이면 해수양식 또는 해면양식으로 불립니다. 또 저수지나, 연못, 논에서 하는 양식은 지중양식 또는 노지양식이라고 합니다.

 

3) 양식 시설에 의한 분류

  - 해수양식에서 만 입구나 내만을 막아 그 안에 보리새우, 대하, 방어, 우럭 등을 양식하는데 제방을 쌓아 양성하는 경우에는 제방식양식이라고 하고, 그물로 차단하는 경우에는 그물 차단식 양식이라 합니다. 대부분의 어류 대상으로 그물을 이용하여 전체를 차단하고 조류 소통을 좋게 하는 경우에는 그물 가두리식 양식이라고 합니다. 이동성이 없거나 물체에 부착하여 양성하는 패류나 해조류는 뗏목이나 밧줄에 매달아 양식하는데 이런 경우 각각 뗏목식, 연승식 양식이라고 합니다. 굴과 같이 부착 기질에 부착시켜 양성하는 경우는 바닥식 양식, 패류를 수중에 매달아 키우는 방식은 수하식 양식이라고 합니다.

 

양식장의 적지 선정

양식장의 적지를 선정할 때는 어종에 맞는 물과 종묘 확보 등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장소를 선택해야 합니다. 미리 양식지가 정해져 있을 때는 그 장소에 적합한 어종을 선택하고 그 다음에 관리와 판매를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수온

  - 수산생물은 종류에 따라 성장에 적합한 성장 적온과 번식에 적합한 번식 적온을 가지며 성장 적온과 번식 전온이 거의 같은 수산 생물도 있고 현저히 다른 생물도 있어요. 성숙 적온은 일반적으로 범위가 넓지만, 그 범위가 분명하지 않은 종류가 많고 산란 적온은 성숙 적온의 범위 내에 있습니다.

 

2) 염분

  - 해산 어패류의 양성지를 선택할 때는 앞서 언급한 수온 이외에도 염분농도를 고려해야됩니다. 참굴은 염분농도가 높은 외양성 연안에서부터 담수 유입에 있는 내만에까지 분포하는 광염성으로 염분농도가 양식장 선정의 제약 요인이 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3) 물의 이용

담수양식에서 무지개송어나 은어와 같이 산소 소비량이 많은 어종은 유수식으로 양식하지만, 산소 소비량이 적은 어종이라도 단위면적당 높은 수확량을 올리려는 경우에는 유수식이 적합합니다. 또한 지수식 양식에서도 용수가 많을수록 양성 관리는 쉬워집니다.

 

종묘의 확보

수산생물의 양성은 종묘 확보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양식업에서 종묘비는 사료비와 함께 생산비 가운데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가능하면 싼값으로 입수할 수 있도록 해야됩니다. 하지만 종묘 가격이 싼 것만이 아니라 품질도 좋고, 사육 중 탈락률도 적은 것이 좋으며 종묘 운반비도 적어야 할 것입니다. 인공 종묘생산이 쉬운 잉어, 금붕어, 무지개송어, 넙치, 조피볼락 등은 비교적 쉽게 희망하는 크기의 종묘를 입수할 수 있지만 뱀장어, 방어 등과 같이 종묘를 생산할 수 없는 종류나 시험단계에 있는 것은 자연에서 채포한 자치어를 종묘로 사용해야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